
존슨 앤드 존슨의 코로나19 백신인
얀센 백신이 미국 FDA의 부스터샷 승인에서 배제됨에 따라
얀센 백신 접종자들의 소외감과 박탈감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얀센 백신 접종자의 부스터샷은 정말 불가능한 걸까요?
ㅇ관련 뉴스 : https://news.v.daum.net/v/20210909154357175
"우리는 소외됐다"..美 얀센 접종자 1400만명의 절망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우리는 소외된 것 같아요" 마스크 착용 등 보건 당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지침을 철저히 지키던 제니스 하긴스(69)는 지침에 따라 올해 봄 존
news.v.daum.net
사실 얀센 백신 측의 중대한 전략 실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과 얀센 백신은
둘다 바이러스 백터 방식을 채택했으며
코로나 예방률도 62~70% 수준으로
비슷한 편입니다.
물론 mRNA 방식인 화이자나 모더나의
감염예방률 95%에 비해서는
많이 부족합니다.
문제는 이런 상대적 부족을
극복하는 양사의 전략은 사뭇 달랐습니다.
바이러스 백터 방식 백신의 단점을
극복하는 두 백신의 차이
AZ 백신의 경우,
처음부터 수회 접종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폭 넓게 임상시험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코로나가 장기화 될 경우
백신 혼용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므로
교차 접종에 대한 임상시험도 병행하면서
관련 데이터를 쌓아가고 있었습니다.
반면,
얀센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을 완료할 수 있다
는 것을 특장점으로 내세웠습니다.
이 특장점은
결국엔 최악의 단점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습니다.
1회 접종을 전제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긴급사용승인을 받은터라
부스터샷에 대해서는
보다 까다로운 절차를 통과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 것입니다.

1회 접종의 특장점은
결국 양날의 검이 되다....
교체 접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뒤늦게 얀센 백신측은
2회 이상 접종 내지 부스터샷 접종에서도
효과가 매우 높다고 홍보를 하고 있지만...
https://news.v.daum.net/v/20210826070019362
'얀센' 백신 부스터샷 효과 좋네..항체수준 최대 9배 높아져
[파이낸셜뉴스] /사진=뉴스1 얀센 백신 1회 접종 후 부스터 샷(추가 접종)을 더하면 항체 수준이 크게 높아져 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얀센 백신 부스터 샷 접종
news.v.daum.net
제품 개발사 연구소에 주장하는 효과는
약품 안정성을 검증하고 사용을 승인하는 것과
별개입니다.
애시당초 1회로 충분하다고 주장하던 회사가
수회 접종이 더 좋다고 말을 바꾸는 것도 웃기거니와
그렇게 말을 바꾼 근거에 대해서도 증빙을
더 까다롭게 해야 합니다.
결국 현재 미국 FDA는
얀센 부스터샷 승인은 계속해서 미뤄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미 부스터샷 늦춰지나..모더나·얀센 연기 검토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접종 일정이 늦춰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백신접종 의무화에 반대하는 이들이 시위를 하고 있다. 한 여성이
news.v.daum.net
자사 제품의 한계를 인정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현실적(실용적)인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했던
AZ 백신과
코로나 팬데믹의 중장기화를
예측하지 못하고
1회 접종이라는 양날의 검을
특장점으로 부각시켰던 결과의 후폭풍을
뒤늦게 맞고 있는 얀센 백신
교사 혹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는
사례인 것 같습니다.
(물론 가장 큰 피해자는 얀센 백신 접종자입니다...ㅠㅠ)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제17호 태풍 '라이언록' 뜻이? 홍콩정신의 상징이라구? (0) | 2021.09.11 |
---|---|
북한은 16호 태풍이름을 왜 '민들레'라고 지었나? (0) | 2021.09.11 |
그랜저 HG 연료탱크 용량은? (0) | 2021.09.09 |
4세대 카니발(KA4) 연료탱크 용량은? (0) | 2021.09.08 |
2021년 제15호 태풍 '뎬무'는 무슨 뜻일까? 중국 전설 속 여신?!? (1) | 2021.09.07 |
댓글